자동제어 유지보수 Options

상기 부하장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부하에 따른 설계상 고장인자의 임계값을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부;

물론 통기관이나, 오버플로 배관들도 있지만 자동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은 아니므로 차후에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 실제로 건축무을 유지관리하시는 분들에게 유요한 저수조의 자동제어 수위 설정, 세팅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은 부하장비의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부하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; 상기 부하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온 데이터로 고장연관인자를 계산하고, 부하장비로부터 고장연관인자를 계측한 후 계산값과 계측값을 비교하여 설정치 이상 차이가 발생되면 조기고장경보를 표시하는 조기경보 진단수단; 상기 부하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온 데이터로 부하별 설계효율을 계산하고, 부하별 효율을 계측한 후 계산값과 계측값을 비교하여 설정치 이상 차이가 발생되면 효율경보를 표시하는 효율경보 진단수단; 상기 부하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온 데이터로 임계치를 설정하고, 변화추이를 계측한 후 고장시점을 예측하여 고장시점예측시간을 표시하는 고장시점 예측수단; 상기 부하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온 데이터로 설계수명을 연산하고, 사용횟수/시간을 적산하여 잔존수명을 계산한 후 잔존수명을 표시하는 잔존수명 진단수단; 상기 조기경보 진단수단과 상기 효율경보 진단수단, 고장시점 예측수단, 잔존수명 진단수단의 표시 내용중 원격 송출 내용을 편집하는 편집부; 및 상기 편집부에서 편집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으로 구성된다.

또한 본 발명은 설비 관리자 뿐 아니라 시설 거주자들에게도 설비 상태를 전달하여 능동적으로 사고 예방에 협조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.

실시간으로 수집된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파악하고 그 추이를 분석하여 에너지 절감을 가능하게 합니다.

연산된 결과와 실 운전시, 부하에 따라 계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된 효율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고장의 유무를 판단하는 효율진단부; 및

  마지막으로 저수조에 있는 급수 자동제어가 어떠한 이유로 고장이나 급수가 멈추지 않을 때 어떻게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물 넘침 사고를 방지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
본문 바로가기 국제컨트로닉스

블로그 아이디는 한번 정하면 다시 변경이 불가능합니다. 이 아이디로 블로그를 만들까요?

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시퀸스시험을 거쳐 타 기계설비와 같이 시운전을 완료하고 납품하는 것을 말합니다.

   유지보수를 받던 거래처가 바뀔수도 있고 기존 근무자들과의 인수인계 미비로 인하여 업무가 매끄

두번째 실수는 단락이 없다고 배선 문제는 없을거라는 잘못된 확신을 가져 시간이 더 지체되었습니다.

그리고 예전에 쓴 정수위조절밸브와 피스텍밸브 원리 포스팅과 이번 글을 번갈아가면서 보시면 저수조 시스템은 완전히 자동제어진단 마스터하실 거라 생각합니다. 다음 시간에는 더 좋은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.

Leave a Reply

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. Required fields are marked *